수정삭제날짜 : 2023.11.6 7:10

[AWS] EC2와 DB의 연결 방식 변경 후기 0

포스트 썸네일 사진

AWS EC2인스턴스에서 DB를 RDS로 사용하는 방법이 금전적 비용이 많이 들어서 방식을 변환하였다.

결과적으로 AWS에서 사용하는 RDS에서 EC2 내장 MySQL로 전환하였다.


데이터베이스를 클라우드 형식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을 생각해 봤는데, 내가 고를 수 있는 방법으로는


첫 번째, RDS를 이용하여 AWS클라우드에서 사용하는 방법


두 번째, AWS EC2에 MySQL을 내장하여 사용하는 방법


세 번째, 다른PC(연구실 컴 등)에 MySQL을 설치하여 해당 컴퓨터를 클라우드 저장소로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었다.


이중 첫 번째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굳이 RDS 과금이 생길 필요가 없다 생각하여 두 번째 방법으로 전환하였다.


전환 근거는 다음과 같다.

RDS가 가지고 있는 장점은 AWS에서 제공해 주는 편리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으며, 원격 저장소 구축이 간편함.

에러가 발생했을 때 배포하는 EC2 컴퓨터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어디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알아채기 쉬움.

하지만 데이터가 이동하는 규모가 작은 내 프로젝트에서는 굳이 모니터링 시스템이 크게 효과가 없으며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경우라고 생각했음.

두 번째 방법과 세 번째 방법 중에서 고민을 해 봤는데, 가장 편한 방법은 세 번째 방법이긴 했음.

하지만, EC2 Linux OS에 DB구축을 해보는 경험도 해 보고 싶었고, 단순한 속도 면에서 생각해 보았을 때도,

EC2 컴퓨터에서 연구실 컴퓨터로 DB 쿼리를 날리는 것 보다

EC2서버에서 내장 MySQL에 로컬 호스트로 쿼리를 날리는 게 훨씬 빠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함.


23.11.01 EC2 인스턴스 성능 문제로 세 번째 방법으로 전환.

댓글 펼치기 0